스토캐스틱 기초 분석
주가를 표시하는 봉 차트와 스토캐스틱 차트의 차이점은
봉 차트는 주가의 절대적 수준을 표시하지만
스토캐스틱 차트는 0 에서 100(%) 까지의 수치로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주가는 5천원에서 100원만원까지 상승할 수도 있고,
5천원에서 10원으로 하락할 수 도 있으나,
스토캐스틱 차트는 %로 주가 수준을표시하여 100% 이상과
0 % 이하는 없으므로 0 과 100 사이에서 파동이 움직이게 됩니다.
스토캐스틱 차트를 실전 매매에 활용하는 것은
매매시점을 잡는데 필요하지만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스토캐스틱 차트 활용법은 실전에서 오류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스토캐스틱 차트 활용법은 몇가지가 있습니다.
스토캐스틱의 수치를 추세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방법,
스토캐스틱의 수치를 과열과 침체의 판단의 기준으로 삼는 방법,
스토캐스틱 두 선의 골든크로스(G.C.)와 데드크로스(D.C.)를
매매 신호로 삼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토캐스틱 차트는 기간 변수로 5일을 사용합니다.
이것을 단기 스토캐스틱 이라고 합니다.
일반 이론에 따른 매매 원칙이 매매 신호로서 오류가 많은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토캐스틱이 5일 변수의 단기 이기때문입니다.
단기 스토캐스틱은 5일 이상의 추세를 보여주기에는 부족 합니다.
중기 하락세에 있는 주가가 단기적으로 며칠 상승한다고
상승 추세로 전환된다고 하기 어렵고
중기 상승세에 있는 주가가 며칠 하락한다고
하락 추세로 전환된다고 하기 어렵습니다.
스토캐스틱이 과열권에 들어간다고 그 다음날 바로 꺾이거나
침체권에 들어간다고 그다음날 반등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단기 스토캐스틱을 보고 매매할 때 위험을 줄이는 포인트는
주가의 추세가 단기(변수5일)보다 큰 곡선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지를 먼저 알고 스토캐스틱을 분석하여야 합니다.
단기 스토캐스틱을 분석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큰 곡선 을 먼저 보아야 합니다.
주로 20일 선을 보면 되고, 주가가 20일선 아래에서 하락하고 있는지,
20일선 위 아래로 오르 내리던지, 아니면 20일선 위에서
상승하고 있는지를 따져 보지 않고 5일 변수의 스토캐스틱만 보고 매매하면
적게 먹고 많이 잃는 경우가 생깁니다.
단기 스토캐스틱을 주가 20일선 이평선과 연계하여 분석하는것이 필요합니다.
스토캐스틱 차트는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의미하므로
주가가 상승하더라도 주가 상승의 힘이 상대적으로 약해지면
스토캐스틱 곡선의 고점은 직전 고점보다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게 되고,
주가 하락하더라도 주가 하락의 힘이 상대적으로 약해지면
스토캐스틱 차트에서는 곡선의 저점이 직전 저점보다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신중한 개미 라면 주가는 직전 고점보다 상승하더라도
스토캐스틱의 곡선은 직전 곡선의 고점보다 낮아졌다면 상승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스토캐스틱의 곡선에서 어느 방향으로 힘이 강해지는
두 선의 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가 나는 지점의
스토캐스틱 수치와 관계 있습니다.
스토캐스틱은 골든 크로스가 40 이상에서 발생하면 상승의 힘이
단기적으로 강한 것 이고 , 골든크로스가 60 이하에서
발생하면 주가 하락의 힘이 단기적으로 강한 것을 의미합니다.
스토캐스틱의 골든크로스 발생 지점의 수치가 높을수록 상승의 힘이 강하고,
골든크로스 발생의 수치가 낮을수록 하락의 힘이 강한 것 입니다.
따라서 스토캐스틱의 곡선의 고점과 저점, 그리고
그 지점의 수치를 보는 것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이상과 같은 기초적인 기법으로도 상당 수준의 스토캐스틱
차트 분석이 가능 합니다.
차트의 기초 분석이 필요할때 읽어 보세요
[초보 주식 Tip] - 챠트 분석의 기초/챠트 보는법의 이해(1)
[초보 주식 Tip] - 차트 분석의 기초/주식을 살때 팔때 쉴때를 지키자.(2)
'초보 주식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9.단기 고점 거래량과 이동평균선 (0) | 2015.07.21 |
---|---|
No.8.거래량은 주가를 움직이는 에너지 (0) | 2015.07.20 |
No.6 . 20일선과 10일선의 중요성 (0) | 2015.07.18 |
No 5. 주가 이동 평균선 에 대해 알아보자. (1) | 2015.07.17 |
No4.차트와 자표 캔들차트 (0) | 201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