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선 이라하는 20일선
이평선 중에서 5일선 , 20일선 , 60일선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그 중에서도 20일선은 생명선이라고 하여 가장 중시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 입니다.
20일선이 생명선이라 하는 이유는 주가가 20 일선 위에 있느냐
그 아래 있느냐에 따라 추세가 달라지기 때문 입니다.
20일선 밑에 주가가 내려가면 매도 신호라고 하여 매물이 증가하고,
신규 매수는 하지 말라는 것이 일반적인 이론 입니다.
주가가 20일 선에서 지지에 실패하고 밑으로 내려가면 하락 추세 이므로
단기적으로 반등하더라도 금방 다시 꺽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발 빠른 매매를 할 수 없는 개미는 매수하지 말고
보유 물량이 있으면 매도하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재 매수는 20일선이 상향으로 전환 되었을 때 다시 사라고 합니다.
개별종목만을 매매하는 개미라도 졸합주가지수 일봉 차트에서
20일선이 하향 전환된 다음에는 주식 시장이 하락세이므로
매매를 쉬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20일선을 중시하여야 한다는 것은 극히 중요한 매매 원칙이
되어야 하지만 실전 매매를 위한 분석은 위와 같이 20일선과
주가 일봉의 관계만을 단순하게 볼 수 없습니다.
20일선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이 되어 있는데 비하여
10일선의 중요선을 모르는 개미가 많습니다.
실제로 강한 상승장이나 하락장에서 10일선은 극히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상승중 조정시 20일선에서 재매수하라는 것이
일반적으로 주식 책에서 제시하는 매수 원칙이지만 강한 상승장에서나
주도주의 강한 상승시에는 20일선 매수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개미들이 급하게 상승하는 주도주를 사려고 20일선까지 하락하기를
기다리지만 주가는 10일 선에서 반등하기 때문 입니다.
따라서 20일선 매수원칙만 알고서 20일선만 보면 주도주를 살 수 없습니다.
실전 투자에서 10일선이 위와 같이 중요하므로 10일선을 고수선 이라고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10일선을 보아야 강한 주식을 눌림목에서 잡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지수나 개별 종목의 주가가 급락할 때는 10일선 저항이
먼저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트에서 10일선을 추가시켜 보는 것이 필요 합니다.
10일선의 중요성
주식 차트를 보고 종합주가지수 차트나 개별 종목 차트에 10일선을 넣고 보면
10일선이 지지선과 저항선으로 엄청나게 중요한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상승하다가 5일선을 깨고 조정 받는 주식은 20일선에서 사라고 일반적으로 이야기를 합니다.
그것은 어느정도 주식을 공부한 개미는 다들 알고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주식이 상승시 20 일선에서 반등합니다.
그러나 바닥에서 처음 반등을 할때 강한주식은 10일선이나
그 위에서 조정 받고 지지되어 재상승 합니다.
10일선에서 반등하는 경우는 테마 업종의 주도주나 상승장의 대장주,
나홀로 중소형 작전주에서 많이 볼수 있고 상승의 힘이 강한 주식 차트에서 대개 볼 수 있습니다.
개미는 차트에 10일선을 놓고 보지 않으므로 바닥에서 상승시 10일선에서
지지받고 위로 방향을 돌리는 주식을 잘 찾아 내지 못합니다.
힘이 강한 주식이 10일선에서 지지받고 상승할 때 힘이 강하지 않은
주식은 20일선에서 반등하면서 따라 갑니다.
일반 이론을 믿고 주도주를 20일선에서 사려고 기다리는 개미는
주가가 고점을 칠 때까지 주식을 사지 못하고 쳐다보기만
하면서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낌니다.
개미가 강하게 상승하는 종합주가지수나 주식이 10일선에서
반등한다는 원리를 알았더라면 10일선에서 지지받는 모습을 보고
추격 매수하여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10일선을 타고 반등하던 주식의 힘이 약하여 지는 20일선까지
하락하는 것을 기다리다가 힘이 약해져 20일 선에서 지지받는 주식을 사서
고점에서 매도를 하지 못하면 꼭지에서 물리게 됩니다.
반대로 하락하다가 20일선을 깨고 내려가는 주식은 손절매하라고
일반적으로 이야기 합니다.
그것 역시 잘 알려진 이론이여서 어느정도 주식을 공부한 개미는 알고 있습니다.
많은 주식이 고점에서 하락하다가 처음 만나는 20일선에서
지지받아 한 번 반등이 나오지만 그 반등이 10일선 위로 올라가 지지받지
못하면 손절매하여야 합니다.
다시 하락하면 두 번째 20일선을 때리기 때문에 20일선이 지지선이 되지 못합니다.
강한 주식은 다시 10일선위로 올라와 지지받고 상승하지만
20일선에서 반등시 10일선 위로 올라와 지지받지 못하는 주식은 대개 시세가
끝난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일반 이론을 믿고 20일선까지 다시 반등할 때 팔려고 기다리다가는
주가가 10일선 위로 반등 실패한 후 폭락하는 것을 보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10일선은 아주 중요하므로 차트에서 이동평균선 변수에
10일선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인기글 입니다
2015/07/15 - [초보 주식 Tip] - /개미들이 알아야할것들/주식 투자에서 성공 하는 방법
2015/07/16 - [초보 주식 Tip] - 챠트 분석의 기초/챠트 보는법의 이해(1)
2015/07/16 - [초보 주식 Tip] - 차트 분석의 기초/주식을 살때 팔때 쉴때를 지키자.(2)
2015/07/16 - [초보 주식 Tip] - No4.차트와 자표 캔들차트
2015/07/17 - [초보 주식 Tip] - No 5. 주가 이동 평균선 에 대해 알아보자.
'초보 주식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8.거래량은 주가를 움직이는 에너지 (0) | 2015.07.20 |
---|---|
No.7.스토캐스틱 일반적인 분석 방법 (0) | 2015.07.19 |
No 5. 주가 이동 평균선 에 대해 알아보자. (1) | 2015.07.17 |
No4.차트와 자표 캔들차트 (0) | 2015.07.16 |
차트 분석의 기초/주식을 살때 팔때 쉴때를 지키자.(2) (0) | 2015.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