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candlestick)
주가를 가장 알기 쉽게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것이 봉 차트입니다.
봉이란 원래 막대기를 말합니다.
주식 차트에서 봉은 막대기 형태로 일정한 기간의 주가 움직임을
표시한 것을 말합니다.
봉 차트란 봉을 시간 순서대로 배치한 그래프 입니다.
봉 차트는 가로 (X) 축에 시간 , 세로(Y) 축의 주가를 표시하고
봉의 왼쪽에서 부터 오른쪽으로 시간 순서대로 그린 것 입니다.
봉 차트 에서 가장 오른쪽 봉이 가장 최근의 주가를 나타내는 봉입니다.
미국에서는 봉을 양초와 모양이 비슷하다고 하여 candlestick 이라고 하고
봉 차트를 candlestick chart 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캔들 차트라고 부릅니다.
하루의 주가를 표시한 봉을 일봉 , 일주일의 주가를 표시한 봉을 주봉,
한 달의 주가를 표시한 것을 월봉 이라고 합니다.
가장 흔하게 보는 것이 일봉 차트 입니다.
분단위 주가를 봉으로 표시한 것은 분봉 입니다.
분봉에는 시간 단위에 따라 1 분봉, 5분봉 , 10분봉 , 15분봉 , 30분봉 , 1시간봉이 있고 ,
사용자가 마음대로 분 단위를 지정 할 수 있는 분봉 차트에서는 2분봉이나
3분봉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선물과 옵션을 하려면 반드시 분봉까지 알아야 하고 개별 종목을 하더라도 분봉 차트를 보아야 합니다.
일봉이나 주봉이나 분봉이나 분석하는 방법은 같고,
이하 봉 차트 설명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일봉을 중심으로 설명 합니다.
봉 차트를 보면 봉은 막대기 형태의 몸통(body)에 위 끈,
아래 끈이 달려 있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봉은 몸통 색깔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이것을 양봉과 음봉 이라고 합니다.
신문과 같이 흑백 차트를 쓰는경우는 양봉은 몸통은 흰색 ,음봉은 몸통이
검은색으로 구별되고,
칼라 차트를 쓰는경우 양봉은 몸통이 적색(속이 빈적색)으로 표시되고,
음봉은 몸통이 청색 입니다.
미국에서는 주가 상승은 청색 , 하락은 적색으로 표시하나 우리나라에서는
그와 반대로 주가상승은 적색 , 하락은 청색으로 표시 합니다.
양봉은 그날 종가가 그날 시기보다 오른 경우이고
음봉은 그날 종가가 그날 시가보다 내린 경우 입니다.
봉에서 위 끈과 아래끈은 고가 와 저가 를 표시 합니다.
일봉에서 고가란 그날중 가장 높이 올라간 가격이고,
저가란 그날 중 가장 낮게 내려간 가격입니다.
봉의 몸통은 시가 와 종가 를 표시 합니다.
시가란 그날 아침 9 시 장이 시작 할때의 가격이고,
종가란 오후 3시 장이 마감할 때 가격 입니다.
양봉(차트에서 A)은 시가보다 종가가 높게 끝난 것을 의미하므로 몸통
밑이 시가를, 몸통 위는 종가를 표시하고,
음봉(차트에서 B)은 시가보다 종가가 낮게 끝난 것을 의미하므로 몸통
위는 시가를 ,몸통 밑은 종가를 표시 합니다.
만약 시가와 종가가 같으면 몸통의 위와 아래가 붙어 버릴 것입니다.
일봉은 그날그날의 장중 움직임을 표시할 뿐이지 전날 주가 수준과 관계가 없습니다.
일봉은 하루 주가의 움직임을 표시하므로 하루종일 주가의
변동이 없는 날의 일봉은 하나의 횡선(점)으로 표시합니다.
상한가로 시작하여 하루 종일 상한가를 유지하는 날의
주가나 하한가로 시작하여 하루 종일 하한가를 유지하는
날의 주가가 그예 입니다.
이것을 흔히들 점 상한가 ,점 하한가 라고 합니다.
주가가 하루 종일 등락을 거듭하다가 종가가 시기와 같이 끝났다면
일봉은 시가와 종가가 같으므로 몸통 위아래가 붙어서 십자형(차트에서 C)이
될 것 이고 ,하루 종일 시가보다 하락하다가 장 후반에 반등하여 종가가 시가와
같아 졌다면 T 자 형 일봉 (D)이 될것이고,
장중에 반등하다가 다시 밀려서 시가와 종가가 같게 마감되었다면
ㅗ 자형 일봉 (E) 이 될 것 입니다.
시가와 종가가 같아서 몸통이 없는 차트(위의 차트)와 같은 모양의 봉들을
일본식 용어로 도지(doji) 라고 합니다.
양봉과 음봉의 구별은 그날 하루 동안의 주가 움직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고,
어제 주가와 비교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어제보다 주가가 내려 시작하고 종가가 어제보다 낮게 끝났더라도
그날의 시가보다 종가가 오른 경우라면 양봉이 되는 것이고,
어제보다 주가가 올라서 시작하고 종가가 어제보다 높더라도
그날 종가가 시가보다 낮으면 음봉이 되는 것 입니다.
일봉이 하루의 주가를 그 시가와 종가는 몸통으로 ,
그 고가와 종가는 위 끈과 아래 끈으로 표시하는 것처럼,
주봉은 일주일의 주가를 표시 합니다.
주봉에서 시가는 월요일의 시가가 되고, 종가는 금요일의 종가가 되며,
고가는 그주간의 장중에 가장 높았던 가격이 되고
저가는 그 주간의 장중에 주가가 가장 낮았던 가격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월봉은 시가가 그 달 첫 거래일의 시가를,
종가는 그 달 마지막 거래일의 종가를 표시하고,
고가는 그 달의 장중에 가장 높았던 주가를 ,
저가는 그 달의 장중에 가장 낮았던 주가를 각 표시 합니다.
5분봉은 5분마다 하나의 봉이 표시하고,
각 5분이 시작할 때의 주가가 시가로, 끝날 때의 주가가 종가로 표시되고,
5분중에 가장 높은 가격이 고가로서 위 끈이 되고 가장 낮은 가격이 저가로서
아래 끈이 됩니다.
오전의 일봉 모양에는 세력들의 속임수가 많으므로
일봉이 아침에는 양봉이나 점 상한가가 되었다가 오후에는
하한가나 장대 음봉이 되는 경우도 많고
아침에 아무리 주가가 강한 모습을 보여 준다고 하더라도
오후까지 그러한 강세가 유지되리라고 속단하면 않됩니다.
그날의 일봉 모습은 오후 장 막판이 되어서야 알 수 있으므로
추세 판단 이 오후 늦게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초보 주식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6 . 20일선과 10일선의 중요성 (0) | 2015.07.18 |
---|---|
No 5. 주가 이동 평균선 에 대해 알아보자. (1) | 2015.07.17 |
차트 분석의 기초/주식을 살때 팔때 쉴때를 지키자.(2) (0) | 2015.07.16 |
챠트 분석의 기초/챠트 보는법의 이해(1) (0) | 2015.07.16 |
/개미들이 알아야할것들/주식 투자에서 성공 하는 방법 (0) | 201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