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보 주식 Tip

No 5. 주가 이동 평균선 에 대해 알아보자.


이동평균(moving average)과 이동평균선


이동평균(moving average)이란 일정기간의 수치를 평균한 것으로서

주가 이동평균, 거래량 이동평균 등이 있습니다.

약칭으로 이평(MA) 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동평균은 주가 이동평균이므로 ,흔히

이동편균이라고만 하는 경우는 주가 이동평균

즉 일정한 기간 동안의 주가를 평균한 가격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5일 이평은 오늘을 포함하여 최근 5일간의 주가 평균을 의미 합니다.



이동편균선(약칭 이평선)은 가로(X) 축에는 시간 ,

세로(Y) 축에는 이동평균을 실선으로 연결하여

표시하여 왼쪽부터 시간 순서대로 그린 그래프를 말합니다.

HTS 에서 이동평균선은 증권사가 미리 설정한 변수로 차트가 

만들어져 있으나 차트 설정에 들어가서

이용자가 변수를 선택하면 차트가 변합니다.


이동평균선은 종합주가지수 , 선물지수 , 개별종목 등 주식 차트 

어느것이나 기술적 분석에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봉 차트에서 이동평균선의 표시는 필수적입니다.


주가의 기술적 분석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이동 평균선은 5일선,

20 일선 , 60 일선 세가지 입니다.

따라서 주식차트의 이동평균선 변수로는 5-20-60 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5일 이동 평균선(5일선)을 단기 이공평균선 ,

20일 이동 평균선 (20일선)을 중기 이동평균선,

60일 이동 평균선(60일선)을 장기 이동 평균선이라 합니다.

개미들이 많이 사용하는 모 증권사 차트에는 이용자가 선택하지 않은경우

주가이동평균선의 기본 변수로 5-20-60 대신에 25-75 등과

같이 실제로 별로 사용하지 않는 변수로 만든 차트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식이 일주일에 5일 거래되므로 5일 이평은 일주일의 주가 평균이고,

 주식이 한달에 평균 20일 거래되므로 20일 이평은 한 달간의 주가 평균이고,

60일 이평은 석 달간의 주가평균,

120일 이평은 반년 6개월간의 주가 평균 입니다.

이동평균선의 변수는 5-10-20-60 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기본 차트 에는 10 일선은 없습니다.

이러한 변수는 분봉 이나 시간봉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할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의 장기 추세는 일봉 차트보다는 주봉 차트를 

먼저 분석 하여야 합니다.

장기 추세 분석에는 종합주가지수 월봉과 주봉 차트를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월봉 차트에서 5이평선은 5개월 이동평균이므로 일봉 차트상으로

100일선 (5개월x 1개월당 20일 거래) 에 해당되고,

월봉 차트의 10이평선은 200일선에 해당 됩니다.

주봉 차트 에서는 20 주 이평선과 60주 이평선이 일봉 차트에서는 각각

100일선( 20주x 주당 5일 거래) 와 300일선 (60주x 1주당 5일 거래 )에

해당되므로 역시 장기 추세를 보여 줍니다.



개미는 5일 이평 ,20일 이평 , 60일 이평값을 일일이 

계산할 필요가 없습니다.

대부분의 증권사 HTS가 제공하는 주식 차트에는 각종 이평선이 표시되고

마우스를 원하는 날짜로 가져가면 자바(Java) 차트가

그날의 각종 이동평균의 수치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주가가 5일선을 하향 돌파하였는지는 주가 차트에서 일봉이 5일선 밑으로 

내려 갔는지를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