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보 주식 Tip

No.9.단기 고점 거래량과 이동평균선


고점 거래량


단기적으로는 고점에서 물량이 터지면 꼭지인 경우가 많습니다.

거래량 꼭지가 주가의 단기 꼭지라는 것은 확률이 높은 현상입니다.

특히 중소형 세력주에서는 대단히 확률이 높습니다.

개별 종목이 강하게 상승하다가 고점에서 엄청난 거래량이 갑자기 터지면

세력 물량이 나왔다는 것이므로 상승세는 일단 끝나고 조정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급등주의 고점에서는 세력이 하한가로 갈 것을 무릅쓰고

한꺼번에 물량을 던지는 경우가 있는 데 장대 음봉과 함께

거래량이 평소의 몇 배 정도 터지는 경우 무조건 당일

추격 매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다시 상승할 수도 있겠지만 세력의 물량이 언제 다시 나올지 모르므로 불안 합니다.

강하게 조정을 한 바로 다음날 주가가 전일 종가보다 높게 시작하여 밀리지 않고

 다시 강하게 상승을 한다면 그 다음날부터는 점 상한가로 

날아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것은 세력이 개미의 물량을 흔들어 뺏은 것이 됩니다.

그런데 장대 음봉이 니오고 거래량 터진 후 주가가 다시

상승할 확률보다는 하락할 확률이 더 큽니다.



일년에 몇 번 나오지 않는 대박 종목을 잡으려고 고점에서

갑자기 하한가가 나온 종목을 산다는 것은 극히 위험한 투자 기법 입니다.

주가의 폭과 기울기가 분석 요소의 하나 이므로 상승중에

강한 하락이 나오는 것은 하락이 새로운 추세의 

시작이라는 강력한 신호 입니다.

특히 하한가의 출현은 하락세의 시작일 가능성이 거의 100 % 입니다.

그런 주식을 잡으려다 쪽박 찰 확률이 높은데

굳이 그렇게 할 이유가 있는지 의문입니다.


개별 종목에서는 고점에서 거래량이 없이 주가가 약간씩 올라간다면

매물이 거의 소화된 것을 의미 하므로 다시 한 단계

올라갈 가능성이 대단히 높습니다.

이것은 상승중 횡보형보다도 강한 상승세 입니다.

세력이 고점에서 서서히 나누어 파는 원형 천정형이 아닌 이상

세력이 고점에서 물량을 털어야 하므로 세력의 물량이 터져야

상승이 마무리되는 것이 작전주의 속성 입니다.


세력이 고점에서 급하게 물량을 털지 않고 서서히 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경우는 고점에서 추가상승을 위하여 양호한 조정을 보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차이점은 개별 종목의 경우 대개 바닥에서

주가가 몇배 급등한 다음에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그것을 원형 천정형 이라 합니다.

개별 종목에서 원형 천정형은 세력이 시일을 두고 천천히 주식을 

분산 매도하는 모습 입니다.

요즘은 세력이 급하게 물량을 처분하는 경우가 많아서 원형 천정형은

실전에서 별로 나오지 않습니다.



세력이 급하게 띄운 개별 종목을 급하게 처분하면 주가가 급락합니다.

종전에는 세력이 값은 올렸으나 개미가 안 쫓아와서 물량을 제대로 넘길

수 없게 된 세력이 한주당 얼마씩 펀드매니저에게 주고 물량을 펀드에

넘기는 일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 경우 펀드매니저는 말썽이 나면 사표를 쓰고 그회사를 

떠나면 되고 결국 그 펀드를 산 개미만 모르는 사이에

물을 먹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고점에서의 대량 거래량이 출현하는 것은 거래량의 단기적 변화라는 사실을

유의 하여야 합니다.

거래량의 중기적 추세 변화는 큰곡선의 거래량 비교나 

거래량 이동평균선 분석으로 파악 됩니다.


거래량 이동평균선


거래량은 주식의 에너지이므로 거래량이 감소하는지 증가하는 지가 중요합니다.

거래량이 변하면 주가가 변합니다.

주가 이동평균선이 변하는 것은 주가 변화에 후행하므로

그것을 보고 단기적 매매하는 것은 시차가 크지만 거래량 변화는 주가 변화와

시차가 적습니다.

따라서 거래량의 변화는 주식시장의 흐름을 분석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잇습니다.

특히 거래량의 변화는 주식시장의 흐름을 보는 데는 많이 사용되고

종합주가지수 차트 분석에는 거래량 이평선의 분석도 필요합니다.

거래량 이동평균선은 5일선과 20일선을 봅니다.

거래량에도 60일 이평선이 있으나 별로 활용 되지는 않습니다.

선물 매매에서는 일봉 차트의 거래량 3일선,

분봉 차트의 거래량 3이평선 이 중요합니다.


거래량 이동 평균선 분석은 종합주가지수 차트 일봉 분석에서 필수적 입니다.

개별 종목 차트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 합니다.

개별 종목에서는 거래량 이동평균보다도 거래량의 단가 움직임을

보면 충분 합니다.

개별 종목은 시장의 흐름을 따라 가지므로 지수의 흐름을 먼저 보면 됩니다.



종합주가지수 차트 분석에서는 고점에서 거래량 5일 이동 평균선이 하향 전환 되면

단기적인 주가 고점이고 거래량 5일 이동평균선의 고점이 낮아지는

쌍봉이거나 거래량 20일선이 하향으로 전환되면 

단기나 중기적 고점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래량 감소는 매수세 감소이므로 거래량 5일선의 하향 전환일이 주가 5일선의 

하향 전환보다 선행 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거래량 5일선의 하향 전환에 이어 거래량 5일선이

 거래량 20선과 만나는 거래량 데스크로스가 나면 

그것이 중기적인 주가의 고점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래량 5일선이 낮은 쌍봉으로 무너지면 중기적인

시세가 끝났다는 신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시장의 흐름을 나타내는 종합주가지수 일봉 차트에서

거래량 이평선의 분석이 극히 중요한데도

사람이 이에 관하여 제대로 모른다는 것이 정말 안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