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4대보험 계산기 쉽게 이용해서 궁금증을 풀어보세요

4대보험이라 하면 고용보험, 산재보험 ,건강보험 , 국민연금을 말합니다.

아무리 우리가 근로의무, 국방의의무, 교육의의무 납세의의무가 있다해도

따박따박 매달 오차없이 세금이 자동으로 빠져 나갑니다.

그런데, 이 보험료들이 제대로 빠지고는 있는건지 생각하시는 분들도 아주 많을꺼라고 봅니다.

4대보험 계산기를 이용해서 아주 쉽게 확인 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이제는 정확하게 4대보험 계산기 쉽게 이용해서 궁금증을 풀어보세요.




먼저 포털사이트인 네이버로 검색을 해보겠습니다.

네이버에 들어가셔서 4대보험 계산기 라고 치신다음 검색을 합니다.

4대보험 컨텐츠에 보면 노란색바탕으로 4대보험 계산기라고 나와있습니다.

거기를 클릭해서 들어 갑니다. 그밑으로는 4대보험에 대한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국민연금 : 정부가 직접운영하는 공적연금 제도로....................

건강보험 : 질병 , 부상에 대한 예방 , 진단 , 치료 , 재활과 ..............

고용보험 :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에 생활안정을 ...................

산재보험 : 공영화가 진전되면서 급격히 증가하는 ................. 등등

한번 읽어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시간나실때 읽어 보세요. 본론으로 돌아가서 노란바탕을 클릭을 하시면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매인 화면 이 너옵니다.




여기서 자료실에 보면 여러가지 자료들이 나와있습니다.

법률등 행정기관 용어등 병원이나 약국도 검색 할 수도 있습니다.

빨간네모안에 4대보험 모의계산이라고 나와있는곳을 클릭해 줍니다.




국민연금 계산기 입니다.

모의로 월 2백만원을 넣어서 계산을 해본 결과입니다.

 근로자 부담액과 사업자 부담액이 모두 9만원씩 나오는 군요. 밑에보시면 연금보험료가 9.0%

어쩐지 많이 나간다 싶었는데 다행이 그래도 사업자랑 반반 씩 내게 되어있내요.




건강보험 계산기는 월3백만원을 넣어서 모의로 계산한 결과입니다.

건강보험료도 사업주와 근로자가 50% 씩 계산을 하는군요. 예로 밑에 설명 참조를 하면 되겠군요.




고용보험 계산기는 월4백으로 150명 이상 근무조건 모의계산을 한 결과 입니다.

근로자 실업급여부담액이 2만6천원이고 사업주도 같은비율로 내는데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 부담금을 

더해서 내어서 5만2천원 납부를 하네요.




마지막으로 산재보험료를 계산해볼 수 있는 계산기 입니다.

보수총액을 넣으시고 보험회사 입력 업종 마지막으로 보험료를 적고 계산 누리시면

산재보험료가 정산이 되어 나옵니다.

오늘 여러분도 4대보험 계산기로 이제 정확하게 계산해보세요.

우찌 4대보험 계산기 쉽게 이용해서 궁금증을 풀으셧나 모르겠네요.